글
카테고리 없음 2016. 4. 20. 03:34침묵의 관전자
한 국가, 사회, 조직의 문제가 외부로 드러나는 것을 좋다/나쁘다로 단순화 할 수는 없지만, 외부에 지속적으로 문제가 드러나는 조직은-동어반복적으로-문제가 있는 조직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게 문제가 발생했을 때, 그것을 내부에서 구성원이 동의하는 합리적 과정을 통해 해결 할 수 있다면 그것은 아직은 조직이 괜찮다 볼 수 있다. 문제의 해결을 관장하는 사람 혹은 기관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뜻일 테니. 반대로, 억압적으로 문제를 찍어눌러 없던 것처럼 꾸미려는 경우도 우리는 자주 목격한다. 문제가 많아도 문제고, 문제가 없어도 문제인 것.
02.
문제를 내부에서 해결하는 것은 결코 능사가 아니지만, 외부-사법체계-를 호출하는 것은 사건의 규모와 심각성에 직접적 연관을 가짐에도, 신중히 고려되어야 한다. 그것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더 큰 문제를 발생시키기도 하며, 보다 중요하게는 조직과 개인으로부터 문제를 스스로 규정하고 해결할 힘을 박탈하기 때문이다. 더 이상 공통의 문제에 대해 힘을 발휘하지 못하는 조직이 무엇을 할 수 있을까. 문제해결을 위해 조직이 기능하지 못할 때, 그때는 문제의 해결을 위해 외부를 호출해야 할 때가 아니라, (온건하게 말하자면) 조직을 해체하여 재 조립을 해야 할 때이다.
03.
많은 경우 나와 너, 사람들은 당연하게도 드러난 것들에 대해 반응한다. 드러나지 않은 것에 어찌 반응하라는 말인가? 그러나 항상 침묵의 관전자들, 움직임과 흐름과 반응을 지켜보고 있으며, 어쩌면 그 움직임과 흐름과 반응 그 자체라 할 수 있는 침묵의 관전자들에 대한 고려를 해야 게임에서 이길 수 있다. 이 침묵의 관전자들에 대한 이해가 없이 움직이는 친구들 혹은 한때 친구라 생각했던 이들을 보면 왜 저럴까 하는 안타까움이 든다. 손톱 밑에 가시가 박혔다 할 지라도 절때 빼서는 안되는 타이밍이라는게 있는데.
04.
앨범을 준비하면서 너무 스트레스를 많이 받았다. 다뤄야 하는 돈의 액수는 증가했고, 지불해야 하는 계약관계도 늘었고 그에 따라 이행해야 하는 의무도 가중되었지만, 우리에게 돌아오는 이익은 너무나도 불분명했고 판단할 수 있는 전례가 없었다. 그 스트레스를 주변에 계속 전가하고 나 자신을 학대하지 않았나, 하여 반성한다. 잠이 잘 오지 않는다. 사실 이 글을 쓰는 지금도 무언가 빠트린 일은 없나 하고 각종 메일과 문서들을 뒤지고 싶다. 두어달 그렇게 살다보니 일에 대한 어떤 강박과 중독 상태에서 빠져나오는게 쉽지 않다. 엊그제 여덟시간 잔 게 너무나 좋았다.
05.
침묵의 관전자가 항시 지켜보고 있다는 것은 어떤 윤리적 명령이거나 혹은 자기검열이 아니다. 침묵의 관전자는 사태 그 자체라고 말 할 수 있을 정도이다. 그들에 대해 예민해지고 말을 삼가하고 행동을 조심하게 가져가는 것은 장기적으로 커다란 이득이다. 결국 침묵의 관전자들이 사건을 결정짓기 때문이다. 이것을 이해하지 못하면 매일 매일의 고통에 꽥꽥대는 수 밖에 없을 것이다. 안타까워서 하는 말이다.
06.
눈을 감고 천천히 어떤 흐름으로 접근하게 될 지를 상상하고, 그 흐름의 결절점마다 포인트를 하나씩 만들어두면 좋다. 물고기를 낚는 일이나, 사람을 낚는 일이나 마찬가지이다. 돈이 없다면 없는대로 헤쳐나갈 수 있는 구석이 있다. (또, 그런 구석이 아직은 그래도 있으리라 믿어본다.) 아무것도 없다는 듯이 닥치는대로 뭔가를 하는 사람들을 볼 때마다, 아주 작은 도움을 주고 싶지만 그러기 위해서 내 시간과 주의를 잠시 돌려야 하는데, 그게 좀체 쉽지 않다. 방법을 모색중이다.
07.
단순하게도 영화를, 음악을, 문학을 보고 듣고 읽는 사람의 마음속이 얼추 대부분 비슷하다. 단지 스스로가 포인트를 두는 지점이 다를 뿐. 시스템이 나쁘지않게 작동중이라면, 굉장히 특출나거나 새로운 관점을 제시해 주는 일에 신경쓰지 않아도 된다. 더 좋은 것을 더 좋은 것이라 밝혀주는 것이 시스템의 몫이니까. 침묵의 관전자들이 그런 것은 아닐까.
08.
아직도 무엇이 최선일까, 하는 외려 비인간적인 고민을 한다. 그건 개인이나 집단의 능력 밖의 판단이 되어버린지 오래다. "다 지난 일이다"라며 뇌까리지 않기 위해서는 무엇을 해야 할까. 조심하고 삼가하는 것은 오래된 미봉책이다. 이 처세술을 삶의 윤리로 격상시킬 하등의 이유가 없다.
09.
"I quit"을 선언하거나 혹은 "Fuck off"라고 외치는 선택지만 남은 상황이 극단주의 아닐까. 공존에 대한 포기, 타자에 대한 환멸, 견딜 수 없는 웅성거림. 한국 정치에서 제왕적 대통령제를 중심으로 한 승자독식 선거제를 닮은 무수한 그림들. 만약 우리가 실패한다면, 저 양 극단 사이에 사람이 앉을 자리를 만들지 못했기 때문에 실패한 것이다. 대화 없이, 자신의 뇌에서 정합적으로 발생한 연쇄에의 철썩같은 믿음들. 세계와 화해가 불가능한 시절.
10.
사랑은 대부분은 자신과의 싸움이다. 승리하고 웃으며 그대를 안는다는 것은, 자신이 그만큼 변했다는 의미이다. 경철수고의 이 오래된 레토릭을 반복하는 것은, 그것이 그토록 어렵기 때문이다.
RECENT COMMENT